이제 막 개화가 시작된 조선 시대 말에 서양에서 선교사들이 들어왔다. 대부분 한 손에는 복음을 들고, 다른 한 손에는 교육과 의료를 들고 들어와서 지배층과 일반 백성들에게 다가왔다. 그 중에 모삼열(Samuel F. Moore, 1860-1906) 선교사가 있었다. 1892년에 조선에 들어와서 그는 꾸준한 전도로 곤당골 교회를 세웠다. 양반 뿐만 아니라 많은 백정들을 전도하였기에 교회는 백정교회로 소문이 났다. 그러던 중 백정이었던 소년 ‘봉추리’가 아버지가 장티푸스에 죽게 된 와중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모삼열 선교사는 친구이자 고종의 어의였던 에비슨 선교사의 도움을 받아 그의 아버지를 치료하게 된다. 당시 백정 박씨는 고종을 치료하던 그 손길로 자신 같이 천한 백정을 가리지 않고 돌보왔다 하여 감격한다. 그리고 그길로 예수를 믿고 자신과 같은 수많은 백정들을 교회로 인도한다. 후에 백정 최초로 곤당골 교회(현 승동교회)의 장로가 되고 아들은 제중원 의학교(후에 세브란스 전문대학)의 1회 졸업생이 되어 조선 최초의 외과의가 된다. 사회적, 신분적 주변부에서 예수님의 복음을 영접하고 이제는 하나님의 역사의 중심부로 쓰임을 받게 된 것은 은혜의 한 단면이다.
안식일에 손마른 사람이 회당에 있었다. 사람들은 예수님을 고발할려고 차별당하고 있는 그 사람을 일부러 데려다 놓은 것이다. 예수님은 사람들의 시선을 개의치 않았다. 소외되고 불쌍한, 그러나 소중한 그 한 사람을 주목하셨다. 그 사람에게 ‘한 가운데에 일어서라’고 하셨다. 당당히 종교적 /사회적 주변부에서 그를 중심으로 부른 것이다. 그리고 멋지게 그를 치유하셨다.
어느 시대나 장소엔 늘 차별적 요소가 존재한다. 인간은 누구나 존엄하고 평등하다고는 하나 사람의 기질 속에는 죄로 말미암아 각 사람 안에 들어 있는 하나님의 형상을 보지 못하므로 집단과 군중 속에 무의식적으로든 혹은 의식적으로든 차별의 가해자가 되기도 하고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 이것은 반드시 개선해야 할 개인적 사회적 구조악이기도 하다. 그러나 힘의 형평성 문제로 피해자들은 늘 사회의 주변부로 고립되곤 한다. 아니 그 주변성에 안전을 느끼며 오히려 그런 상황을 내재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예수님은 숨어 있고 주변적인 우리에게 세상의 한 가운데로 나오라고 하신다.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를 온전하게 하시고 축복하시기 위해서다. 그것은 주님 편에서 보면 십자가 목숨을 건 초청이다. 초청에 응한 사람 만이 하나님의 은혜가 시작된다.
안식일에 손마른 사람이 회당에 있었다. 사람들은 예수님을 고발할려고 차별당하고 있는 그 사람을 일부러 데려다 놓은 것이다. 예수님은 사람들의 시선을 개의치 않았다. 소외되고 불쌍한, 그러나 소중한 그 한 사람을 주목하셨다. 그 사람에게 ‘한 가운데에 일어서라’고 하셨다. 당당히 종교적 /사회적 주변부에서 그를 중심으로 부른 것이다. 그리고 멋지게 그를 치유하셨다.
어느 시대나 장소엔 늘 차별적 요소가 존재한다. 인간은 누구나 존엄하고 평등하다고는 하나 사람의 기질 속에는 죄로 말미암아 각 사람 안에 들어 있는 하나님의 형상을 보지 못하므로 집단과 군중 속에 무의식적으로든 혹은 의식적으로든 차별의 가해자가 되기도 하고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 이것은 반드시 개선해야 할 개인적 사회적 구조악이기도 하다. 그러나 힘의 형평성 문제로 피해자들은 늘 사회의 주변부로 고립되곤 한다. 아니 그 주변성에 안전을 느끼며 오히려 그런 상황을 내재화하기도 한다. 그러나 예수님은 숨어 있고 주변적인 우리에게 세상의 한 가운데로 나오라고 하신다.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를 온전하게 하시고 축복하시기 위해서다. 그것은 주님 편에서 보면 십자가 목숨을 건 초청이다. 초청에 응한 사람 만이 하나님의 은혜가 시작된다.